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노팅힐 포스터
    노팅힐 포스터

    노팅 힐에서 벌어진 이야기

    이혼남 윌리엄 태커는 웨스트 런던의 노팅 힐에 사는 소심한 남자이다. 독특한 독신 친구와 함께 사는 그는 노팅힐 시장 한쪽 구석에 위치한 조그마한 여행서적 전문 서점을 운영하며 살고 잇다. 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일을 하던 도중 세계적인 인기 영화배우 안나 스콧이 우연히 그의 서점으로 들어와 책을 사가자 어쩔 줄 모른다. 몇 분 뒤 오렌지 주스를 사서 돌아오던 도중 코너에서 안 나와 부딪혀 그녀에게 오렌지주스를 쏟고, 근처 집으로 데려가 씻고 옷을 갈아입게 한다. 헤어지기 전에 받은 그녀의 키스에 정신을 못 차리는데, 며칠 후 안나는 전화를 걸어 그녀가 머무는 호텔로 윌리엄을 초대한다. 파티를 즐기다가 돌아간 그녀의 방에는 미국에서 갑자기 찾아온 그녀의 남자친구가 기다리고 있었다. 윌리엄은 자신이 룸서비스하러 온 직원이라 말하고 돌아간 뒤 그리움에 빠진다. 반년이 지난 후 그녀가 윌리엄 앞에 갑자기 나타난다. 그녀가 무명시절 찍었던 사진들이 신문에 공개되며 잠잠해질 때까지 머무르라고 한다. 하지만 그의 친구가 소문을 낸 탓에 기자들이 몰려오고 그녀는 화를 내며 떠나버린다. 시간이 지나 그녀가 영국에 온 것을 알게 된 윌리엄은 촬영장으로 찾아가 그녀를 기다리지만 오해로 인해 그녀를 잊기로 결심한다. 안나는 사실이 아니었다며 사실을 고백하지만 그는 더 이상 상처받기 싫다며 거절한다. 뒤늦게 윌리엄은 자신이 실수를 했다는 느낌에 급히 안나를 쫓아가 사랑고백을 한다.

    작품에 관한 이야기들

    한국에서는 영어 교육용으로 권장이 되는 영화라고 한다. 다소 오래된 영화임에도 지루하지 않고 일상적인 표현이나 용어가 많이 나온다. 뿐만 아니라 미국과 영국의 악센트가 적절하게 섞여있다는 점도 강점이다. 실제로 이 각본을 기반으로 한 영어 교재도 시중에 출시되어 있다. 리스 이판이 연기한 스파이크는 금발에 수염이 마치 노홍철을 연상케 한다는 평이 있었다. 실제로 노홍철이 무한도전에 출연할 때 이 곡의 인기 ost인 she가 나온 적이 있다. 미샤 바튼은 작 중에서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와 같이 영화 찍은 걸 자랑스러워하는 아역 배우 카메오로 나온다. 두 주연배우 휴 그랜트와 줄리아 로버츠는 모두 로맨틱 코미디 장르의 영화로 스타의 반열에 오른 공통점이 있다고 한다. 각본가 리처드 커티스는 네 번의 결혼식과 한 번의 장례식의 각본도 담당했어서 두 작품의 은근한 공통점이 있다고 한다. 두 작품 모두 영국인 남주가 미국인 여주와 사랑에 빠진다는 점, 여주는 처음 만날 당시 다른 남자와 연애 중이라 맺어지지 못했다가 결말에 남주와 이어진다는 점이 비슷하다고 한다. 엔딩 장면에서 윌리엄이 안나의 영화 시사회에 참석하는 장면은 레스터 스퀘어 역에서 촬영 예정이었지만, 당시 디카프리오 영화 시사회 도중 인산인해로 인한 곤욕을 치른 당국이 촬영 허가를 내주지 않았다고 한다. 제작진이 안전보건법을 통해 겨우 허가를 받아 주어진 24시간 안에 극적으로 촬영을 마쳤다고 한다.

    영화 감상평

    이 작품을 보고 한참 뒤에 알게 된 사실인데 각본가 리처드 커티스가 로맨틱 코미디 장르에서 굉장히 거물이라는 것이다. 이후에도 러브 액추얼리, 어바웃타임, 브리짓 존스의 일기 같은 영화들을 맡았다. 세 작품 다 내가 너무 재밌게 본 영화들이다. 노팅힐에서 그의 각본은 일종의 소망 성취였다고 한다. 일반인인 주인공이 할리우드의 별인 여배우를 만나다니. 개인적으로 줄리아 로버츠의 연기가 좋았다고 생각한다. 본인이 스타면서 스타의 역할을 한다는 것이 쉬웠을지는 모르겠지만 영화를 굉장히 잘 이끌어나갔다고 생각한다. 휴 그랜트의 매력도 이 영화를 보기 전에는 몰랐으나 웃음이 예쁘다고 생각했다. 유명한 배우인 만큼 연기는 말할 것도 없었다. 줄라이 로버츠와 너무 잘 어울려 영화를 찍으면서 서로에게 반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까지 들 정도였다. 허황되었다고 말해도 될 만큼 비현실적인 로맨스를 이토록 진지하게 풀어나가는 것이 경망 떠는 일련의 소동으로 점철된 할리우드 공장 로맨틱 코미디와 매우 차별화되었다고 생각한다. 엔딩이 추측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지루하지 않고 주인공이 행복해지기를 바라며 보는 영화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