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건축학개론 포스터
    건축학개론 포스터

    영화 관련 정보

    2012년 3월 22일에 개봉한 한국의 로맨스 영화. 남자 주인공 승민과 여자 주인공 서연이 처음 대학교에서 건축학개론 수업을 듣던 과거의 시점과, 한참 뒤 의뢰인과 건축가 사이로 다시 만난 현재 시점의 액자식 구성이 특징이다. 과거의 승민은 이제훈, 과거의 서연은 수지, 현재의 승민은 엄태웅, 현재의 서연은 한가인이 연기했다. 남자 배우보다는 여자 배우들의 미모 덕분에 눈이 즐거운 영화였다. 이 작품은 최종 관객수 4,110,645명으로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과 너는 내 운명을 제친 순수 멜로 장르 한국영화이다. 이용주 감독은 원래 건축학개론이 데뷔작으로 기획된 영화라고 밝혔다. 하지만 투자에 난항을 겪어 다른 영화를 먼저 제작하고 후에 제작이 된 것이 빛을 발했다. 실제로 이 영화의 혼란스러운 고증은 80년대 말 대학 생활을 겪은 세대가 90년대 초반을 겨냥하고 쓴 대본이 90년대 중반을 배경으로 촬영되어 밀렸기 때문이라고 한다. 하지만 관객들에게 향수를 불러일으킬 수 있어야 하는 만큼 이주용 감독이 시대 고증 부분에 상당히 심혈을 기울였다고 한다. 소품 의상 등 세심하게 노력을 한 부분이 있지만 작 중 옥에 티들이 몇 가지 있었다고 한다.

    건축학개론 줄거리

    건축 사무소에서 야근에 시달리며 일하는 승민에게 어느 날 제주도에 집을 지어달라고 하는 의뢰인이 찾아온다. 처음에는 자신에게 친근하게 말을 건네는 상대가 누구인지 몰랐지만, 그녀는 15년 전 승민의 마음을 뒤흔들었던, 그리고 그에게 깊은 상처를 남겼던 첫사랑 서연이었다. 새로 건축하는 것 외에는 의뢰를 받지 않는다며 거절하지만 서연은 대표를 바로 설득해 버리고, 승민은 그녀와 함께 제주로 향한다. 그녀가 집을 짓고자 하는 곳은 예전에 아버지와 함께 살던 추억이 가득한 집. 장면은 과거로 돌아간다. 대학교 신입생이었던 승민, 멋 부리지도 않고 사교적이지도 않은 그는 건축학개론 수업에서 지각을 해 살금살금 들어오는 서연에게 한눈에 반해버린다. 서연은 피아노 전공의 음대생으로 강남에 사는 부잣집 선배 재욱의 방송국 후배였다. 그들은 통학하는 동선이 겹쳐 점점 가까워졌고 자신들이 사는 동네를 돌아다니게 된다. 승민은 서연과 함께 처음으로 듣게 된 전람회의 기억의 습작에 큰 감동을 받는다. 승민은 서연을 많이 좋아하지만 그녀의 마음은 아직 알지 못한다. 서연은 강남에 사는 재욱 선배에게 관심을 보인 후였고 재욱 또한 서연을 맘에 두고 있었기에 승민은 불안하기만 하다. 그러던 도중 고백을 하기 위해 첫눈이 내리는 날 만나자고 제안하게 되고, 과연 그는 고백을 할 수 있었을까? 나머지 이야기는 영화를 직접 보고 확인하길 바란다.

    평가 및 후기

    이 영화는 처음 본 이후로 가끔 생각나는 작품이다. 멜로영화는 영화관에서 성공하기 어렵다는 법칙을 깨고 무려 411만의 관객을 스크린 앞으로 불러온 작품. 건축학개론은 20,30대 중반의 주인공들의 모습이 그려지며 20대에겐 풋풋한 사랑과 대학생에 대한 추억을 되새기게 만들고, 30대 40대 관객들에게는 지나간 사랑을 그리워하는 마음에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또한 그때 당시 유행하던 CD플레이어나 팬티엄 컴퓨터, 전람회의 노래 등이 그 시절 삶을 살아온 사람들에게 많은 향수를 자극하지 않았나 싶다. 이 영화는 개인적으로 첫사랑 로맨틱 영화 중 최고라고 평가하고 싶다. 이용주 감독이 실제 건축공학과 출신이라고 하는데 집을 지으며 서로를 이해하게 되는 것이 멜로와 잘 어울린다고 생각했다. 특히 같은 배역을 연기한 배우들이 닮아 보이기도 했는데 과거와 현재를 오며 가며 보여주는 연출이 너무 좋았다. 또 감초 역할을 한 배우 조정석의 코믹 연기가 아주 웃겼다. 컬러풀한 옷차림으로 첫사랑병에 걸린 승민에게 연애 코치를 해주는 납득이가 최고의 캐릭터가 아닌가 싶다. 아마 조정석 연기 인생 중 가장 유니크한 배역이 아닐까. 제주도에 지어진 집 창 밖으로 보이는 바다 또한 아름다웠다. 영화를 위해서 실제 집을 지으면서 촬영했다고 하는데 그 열정만큼이나 결과물로 돌려받은 것 같다. 가슴이 설레고 싶을 때 보면 좋은 영화! 내 평점은 10점 만점의 7점이다.

    반응형